전국이 동일한 시기에 장마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장마가 시작되었습니다. 올해 장마는 슈퍼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예년보다 강우량이 많을 것으로 예측되며 시간당 20~40mm 이상의 강한 비도 잦을 것으로 예상되어 많은 호우 피해도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예상 장마기간
금년 장마는 전국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장마 영향권에 접어들면서 중부지방 기준으로는 평년과 비슷하게 장마가 시작되었고, 남부 지방과 제주는 평년에 견줘 다소 늦은 시기에 시작되었습니다. 기상청의 장마평년값 데이터로 보면 장마가 끝나는 시기는 7월 20일에서 26일 정도로 지역별 편차는 있으나 대략 한 달 정도의 기간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수량 예상
기상청 날씨누리에서 제공하는 장기 전망에서는 장마 기간 동안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40%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집중 장마기간인 7월만이 아니라 8월에도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는데 상습침수 우려되는 지역에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장마기간 주별 날씨 전망
기 간 | 주별 전망 | ||
07.03. ~ 07.09. |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구름 많은 날씨를 보이겠으며,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오는 때가 있겠습니다. (주평균기온) 평년(22.9~24.1℃)과 비슷할 확률이 50%입니다. (주강수량) 평년(30.1~93.7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
||
07.10. ~ 07.16. |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구름 많은 날씨를 보이겠으며,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오는 때가 있겠습니다. (주평균기온) 평년(23.3~24.7℃)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40%입니다. (주강수량) 평년(55.8~104.3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
||
07.17. ~ 07.23. | 점차 확장하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겠으며, 남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오는 때가 있겠습니다. (주평균기온) 평년(24.3~25.9℃)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40%입니다. (주강수량) 평년(35.5~62.3mm)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
||
07.24. ~ 07.30. |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비가 오는 떄가 있겠습니다. (주평균기온) 평년(25.2~26.6℃)과 비슷하거나 높을 확률이 40%입니다. (주강수량) 평년(35.5~62.3mm)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
주별 날씨 전망을 살펴 보면 7월 마지막주부터는 장마가 끝나고 무더위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장마기간은 끈적한 습도 때문에 힘들고, 장마가 한 풀 꺾이고 나면 역시나 불볕더위 때문에 힘들것으로 예상됩니다. 올해는 무더위도 기승을 부릴 것이라고 하니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기상청 원본 자료가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통해 1개월 / 3개월 전망을 살펴 보실 수 있습니다.
1개월 전망 - 기상청 날씨누리
개편된 날씨누리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지도를 통한 실시간 기상정보와 레이더영상, 전국 특보 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내 지역의 현재 기상상황과 대기질 상태, 일출/일몰 시각을 확인할 수
www.weather.go.kr